여성 생식기관(female reproductive system) 난소(ovary)의 기능과 특징
여성 생식기관(female reproductive system)은 난자를 생산하는 난소(ovary),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난관, 자궁, 질과 외음부에 있는 외부 생식기관이 모두 포함 됩니다.
그 중 난소(ovary)는 자궁 후면의 광인대(broad ligament) 상부 양쪽에 1개씩 부착되어 있는 편도 모양의 기관으로 난자를 발육시켜 난소 밖으로 배출시키고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을 생산하는 내분비 작용을 합니다.
태생기에 난소에는 10~60만의 원시난포(primordial follicle)가 만들어지며 출생 후 성장과 더불어 원시난포가 발달되어 성숙한 난포로 되는데, 성숙 난포를 그라프 난포 라고 합니다. 사춘기 이전에는 성숙난포가 난소 피질의 심층부에서 발견되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난소피질의 표면에서 발견됩니다.
난소 피질의 표면에 있던 성숙난포가 난소 표면으로 이동되어 난포가 터지게 되면 난자가 난소의 밖으로 나오는 것으로 배란(ovulation) 이라고 하는데 보통 1달에 1번씩 이루어 집니다.
성숙난포는 내협막, 외협막, 과립막, 난자 및 난포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원시난포가 성장해 가면서 난포 주위에 지방질과 황색의 과립막, 즉 황체 세포막이 형성되는데 이 황체 세포막이 황체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배란시에 성숙난포로부터 난자, 난포액 및 과립막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게 되면 그 자리는 쭈굴쭈굴해지며 혈액이 고이며 나머지 과립세포는 원형질과 둥근 소낭의 핵으로 다면화 되면서 황급색의 황체가 형성이 됩니다.
성숙된 황체는 크기가 1~3mm 정도이나 성숙된 황체는 곧 퇴화되면서 회백색의 결합조직으로 변화되는데 이것을 백체(corpus albicans)라고 합니다.
난소의 호르몬에는 난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황체에서 분비되는 progesterone 호르몬이 있는데 에스트로겐 호르몬은난포의 협막에서 분비되며, 난포호르몬이라고도 하며 여성 생식기와 유방을 발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gr-sterone 호르몬은 황체에서 분비되며 황체 호르몬이라고도 하며 수정란의 착상과 임신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