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깨비시장/잡식

한라산은 활화산인가 휴화산인가?

by show쇼 2024. 3. 28.
반응형

한라산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이지만, 오랫동안 휴화산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라산은 여전히 활화산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지질학적 관점에서 한라산의 화산 활동 역사, 현재 상황, 그리고 폭발 가능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한라산 등반 시 주의해야 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한라산의 화산 활동 시기

  • 한라산은 약 100만년 전부터 화산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마지막 분출은 약 25만년 전으로 추정되며, 그 이후로는 잠재적인 활화산으로 분류되어 왔습니다.
  •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지막 분출 이후에도 한라산은 지속적으로 지질학적 활동을 보여왔습니다. 특히, 약 10만년 전에는 거대한 칼데라를 형성하는 대규모 분출이 발생했습니다.
  • 2016년에는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한라산이 여전히 활화산으로서 활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한라산 활화산 휴화산

 

2. 한라산의 현재 상황

  • 한라산은 현재 지진 활동, 온천 활동, 그리고 화산 가스 배출 등 다양한 활화산 활동 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 지진 활동은 비교적 규모는 작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정상 부근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한라산에는 약 20개의 온천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지하에서 여전히 마그마가 활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화산 가스 배출은 주로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이며, 정상 부근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고 있습니다.

 

3. 한라산의 폭발 가능성

  • 한라산이 언제 다시 분출할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활동 징후를 고려했을 때, 언제든지 분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 과학자들은 한라산의 다음 분출은 수천 년에서 수만 년 후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빨리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4. 한라산 등산 시 주의 사항

  • 한라산은 활화산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등반 시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 화산 활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확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s://www.kigam.re.kr/) 및 한라산 국립공원관리사무소 (https://www.jeju.go.kr/hallasan/index.htm) 웹사이트에서 최신 화산 활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화산 폭발 위험이 높은 지역은 피해: 정상 부근의 백록담 분화구, 서쪽 사면의 쇠소깍, 그리고 북쪽 사면의 삼매봉 등은 화산 폭발 위험이 높은 지역입니다. 이러한 지역은 등반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전 장비를 갖추고 등반: 등산화, 방수 겉옷, 모자, 마스크, 그리고 충분한 양의 물과 식량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 비상 상황에 대비: 화산 폭발이 발생할 경우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미리 파악하고, 비상 연락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라산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연 유산이자 상징적인 명산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활화산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소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한라산을 등반하기 전에 충분한 정보를 갖추고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최근 백두산 폭발 가능성과 함께 한라산도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는 만큼,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인 조사가 필요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