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켈 게실(Meckel's diverticulm) 증상과 치료
태생기 제장간막관의 잔유물로서 회맹판을 중심으로 100cm 이내의 회장에 발생하는 소화기계의 선천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영아의 2%정도에서 발병하고 있으며 주로 남아에게 빈번한 질환입니다.
메켈 게실의 표면은 보통 회장 점막으로 덮여 있지만 간혹 위점막, 췌장, 십이지장 점막으로 되어 있는 경우 소화성 궤양이 나타나 하부소화기관의 출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메켈 게실이 섬유성 띠로 배꼽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섬유성 띠를 중심으로 장관이 꼬여 장폐쇄가 오면 감돈으로 진전되기도 합니다. 게실 입구의 소화성 궤양 부분이 회복되면서 게실이 꼬이거나 게실석이나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게실이 페쇄되면 게실염으로 진행되는데 이때는 식욕부진과 오심, 구토, 복통, 발열, 백혈구 증가증이 오게 됩니다.
특히 게실염인 경우 장천공이 나타난 후 복막염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메켈게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게실부위만 제거하나, 게실주위의 회장에 염증이 심하거나 광범위한 게실증이 있는 경우는 회장의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