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깨비시장/건강상식

여성생식기관 "난관"(fallopian tube, 나팔관 喇叭管)의 구조와 기능

by show쇼 2018. 8. 16.
반응형

여성생식기관 "난관"(fallopian tube, 나팔관 喇叭管)의 구조와 기능




난소에서 자궁까지 뻗어 있는 길이 10cm 정도의 근육성 관을 난관(fallopian tube), 나팔관(喇叭管) 이라고 하는데요

난소로부터 배란된 난자를 자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난관 끝에 깔대기 모양으로 되어있는 누두(infundibulum)는 난소에 근접해 있으며, 누두 끝에는 손가락 모양의 난관채(fimbriae)가 달려 있습니다.

난관(나팔관)의 조직은 내부로부터 점막층, 근육층과 장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점막층은 난자에 영양 공급을 해주고 있습니다.




누두 근처의 난소 표면으로 배란된 난자는 누두 상피세포의 섬모운동에 의해 난관으로 옮겨질 때까지 난소 표면에 머무르게 되는데 일단 난관으로 옮겨진 난자는 난관의 수축과정과 섬모운동에 의해 계속 난관에서 자궁 쪽으로 이동해 갑니다.

배란 후 24시간이 되면 난관의 바깥측 1/3 지점의 난관 팽대부에 도달하는데 보통 난관 팽대부에서 난자는 정자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 집니다., 배란후 난자가 난관을 통해 자궁내에 들어오기까지는 보통 4~5일이 걸리는데 때때로 난관은 수정란이 난관을 통과하지 못하고 난관에서 착상되어 자궁외 임신(ectopic pregnancy)이 발생되는 부위가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