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깨비시장/일상상식

주택청약저축통장 팁! 2만원 넣을까? 10만원 넣을까?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점 비교

by show쇼 2022. 8. 23.
반응형

주택청약저축통장 팁! 2만원 넣을까? 10만원 넣을까?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점 비교

 

주택청약통장에 얼마를 넣어야 할까?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 매월 2만원의 청약저축을 했다고 친다면 차라리 미납하는 것보다 못할 수 있다.

이건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나 둘 다 해당되는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 누구나 하나씩은 가지고 있지만 얼마를 넣어야 유리한지는 제대로 알려주는 사람이 없어 답답해 하는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다. 때문에 오늘은 주택청약저축통장을 관리할때 도대체 얼마를 넣어야 할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청약으로 분양 받을 수 있는 주택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 있다.

 

국민주택 : 공공분양, 공공임대

국가가 주거안정을 위해 건설하는 85㎡ 이하의 주택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LH 와 SH 가 있으며, 이런 주택을 분양하는 과정을 공공분양 이라고 한다.

 

민영주택 : 민간분양, 민간임대

민간 건설사들이 아파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롯데캐슬, 푸르지오, e편한세상, 라미안, 자이, 등등의 브랜드 아파트다.

 

청약통장은 1인 1계좌 개설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매월 약정한 날, 월 단위로 금액을 납입하는 적금식 삼품으로 납입 금액은 최소 2만원부터 최대 50만원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은 청약 당첨자를 선발하는 기준이 다르다.

 

국민주택 :

1순위가 청약과열지구의 경우 청약가입기간 24개월 이상, 납입횟수 24회 이상이다, 때문에 국민주택의 경우는 2년만 꾸준히 청약저축을 넣었다면 1순위가 될 수 있는 커트라인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1순위 동첨자가 상당히 많을 수 밖에 없다. 1순위 동첨자가 많으면 결국 우선순위 요건에 따라 당첨자를 다시 선별하게 되는데, 이때는 [ 3년이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 + 저축총액 or 납입횟수가 많은 사람 ] 으로 계산하게 된다. 때문에 국민주택은 저축총액이 많아야 공공분양 당첨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8월 분양캘린더 기사 (아파트) ▶▷▶ [분양캘린더] 8월 셋째주 전국 4747가구 청약…서울 민간임대 88가구

 

민영주택 :

투기과열지구와 청약과열지역은 청약통장 가입 후 2년만 지나면 1순위가 될 수 있다. 단, 민영주택은 85㎡ 이하의 경우 가점제로 선발하고 있다. 때문에 2만원씩 넣는다 하더라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 2만원을 넣으나 미납을 하나 민영주택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민영주택 역시 통장 예치금이 각 지역에서 요구하는 금액 이상이 되어야만 1순위가 되는데, 당연히 예치금이 부족하며 모집공고 이전까지만 나머지 잔액을 일시불로 넣어야 계약이 가능하다.

 

때문에, 국민주택이든 민영주택이든 한달에 2만원씩을 넣어봐야 사실상 이도저도 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론

주택청약통장은 월 최대 50만원씩도 가능하지만 큰 부담 없이 월 10만원씩 꾸준히 납입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유는 국민주택에서는 1회 10만원까지만 인정을하기 때문에 10만원씩 오랜기간을 두고 청약을 넣는게 유리하고, 민영주택에서는 나중에 부족한 예치금을 일시불로 넣을 수 있으므로 약간의 예치금을 불려 놓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